마상청앵: 김홍도가 수묵담채 기법으로 풀어낸 봄의 정경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제작 배경

 '마상청앵(馬上聽鶯)'은 18세기 조선 후기에 활동한 화가 김홍도(金弘道)에 의해 제작된 작품이다. 김홍도의 풍속화는 서민들의 삶을 사실적이고도 풍자적으로 그려내며 큰 인기를 끌었다. '마상청앵'은 서민들의 풍속화와는 달리 양반 계층의 삶을 반영한 작품이다. 그림 좌측 상단에는 “아리따운 사람이 꽃 밑에서 천 가지 소리로 생황을 부는 듯하고, 시인의 술동이 앞에 황금귤 한 쌍이 놓인 듯하다. 어지러운 금북이 버드나무 언덕 누비니, 아지랑이 비 섞어 봄강을 짜낸다.”는 시가 적혀 있고, 이인문이 감상하고, 단원이 그렸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작품 정보

• 제목(Title): 마상청앵 (馬上聽鶯)

• 작가(Artist): 김홍도 (金弘道)

• 호(Art Name): 단원 (檀園)

• 주제(Theme): 자연과 인간의 교감으로 나타난 봄의 정경

• 소재(Subject): 꾀꼬리, 선비, 말, 버드나무

• 표현 기법(Expression Method): 수묵담채

• 재료(Materials): 종이 (Paper)

• 도구(Tools): 붓 (Brush)

• 크기(Size): 세로 117㎝, 가로 52.2㎝

• 제작 시기(Production Period): 1795년경

• 제작 지역(Place of Creation): 조선, 연풍

• 지역 구분(Cultural Region): 조선 후기

• 소장처(Collection): 간송미술관

화면 구성

 '마상청앵(馬上聽鶯)'의 화면은 길 위에 있는 선비가 말에 타고 지나가다, 길가에 있는 버드나무에서 꾀꼬리 소리에 이끌려 멈춰 서 있는 장면을 중심으로 배치되었다. 작품의 주요 요소인 선비와 말은 화면의 하단과 대각선으로 배치되며, 이들의 동작은 섬세하게 묘사된다. 특히 꾀꼬리가 있는 나무는 화면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나머지 공간은 여백을 두어 고요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배경은 매우 간결하며, 이러한 여백의 사용은 작품에 자연스러운 흐름과 여유를 더해준다.

표현 기법

 '마상청앵(馬上聽鶯)'에서 사용된 주요 표현 기법은 수묵담채(墨彩)로, 먹의 농담과 색을 절묘하게 결합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선비의 고요한 마음을 표현한다. 김홍도는 세밀한 붓 터치를 사용하여 선비와 말, 그리고 버드나무와 꾀꼬리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색상은 자연의 생동감을 강조하는 색조로 사용되며, 특히 꾀꼬리의 노란색은 봄의 기운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기법은 그림이 지닌 서정적인 분위기와 그 속에 담긴 감정적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평가

 '마상청앵(馬上聽鶯)'은 김홍도의 풍속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으로, 그가 시대적 변화를 맞이하며 겪었던 내면적 갈등과 성찰을 담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작품은 당시 조선 사회의 양반의 문화와 자연의 교감을 잘 포착하고 있다. 김홍도의 작품에서 보이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는 동양적 세계관과 일치하며, 이는 작품에 깊은 철학적 의미를 부여한다. 또한, 작품에서 보여주는 미적 완성도와 기법의 세밀함은 김홍도의 예술적 성취를 입증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고 문헌

한국 미의 재발견, "김홍도 <마상청앵>"
KBS 천상의 컬렉션, "마상청앵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마상청앵도"
미술백과, "마상청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