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벽의 고양이 그림: '묘작도'의 섬세한 묘사

 "묘작도(猫雀圖)"


제작 배경

 '묘작도(猫雀圖)'는 조선 후기 화가 변상벽(卞相璧)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이 시기는 변상벽이 활발히 활동하던 18세기 중반에서 후반에 해당한다. 변상벽은 당시의 뛰어난 화원으로, 고양이와 닭을 주제로 한 그림을 많이 그렸으며, 그의 고양이 그림은 특히 유명하다. 이 작품은 고양이와 참새를 주제로 하여, 그의 고양이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으로, 사실적인 동물 묘사와 섬세한 색감 처리로 주목받는다. 또한, '묘작도'는 변상벽의 화풍을 잘 보여주며, 영모화(翎毛畫)라는 특정 화풍에 속한다.


작품 정보

• 제목(Title): 묘작도 (猫雀圖)

• 작가(Artist): 변상벽 (Byun Sang-byeok)

• 주제(Theme): 고양이와 참새의 상호작용

• 소재(Subject): 고양이, 참새

• 표현 기법(Expression Method): 영모화 (동물화), 공필화

• 재료(Materials): 비단에 담채 (Silk, watercolor)

• 도구(Tools): 먹과 붓

• 크기(Size): 세로 93.7㎝, 가로 43㎝

• 제작 시기(Production Period): 18세기 후반

• 제작 지역(Place of Creation): 조선, 서울

• 지역 구분(Cultural Region): 조선 후기

• 소장처(Collection):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화면 구성

 '묘작도'는 고양이와 참새가 주요 구성 요소로, 화면에서 서로 눈을 마주하는 고양이 두 마리와 고목에 앉은 참새들이 배치되어 있다. 화면의 상단에는 새순이 돋은 고목이 자리 잡고, 그 주변에 참새들이 앉아 있다. 고양이는 화면의 오른쪽과 왼쪽에서 각각 다른 동작을 취하며 서로의 시선을 교환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는 고양이와 참새 사이의 긴장감을 강조하는 동시에, 동물들 간의 시각적 교감을 중심으로 한 조화로운 균형을 이룬다. 고양이의 동작과 표정은 매우 생동감 넘치며, 참새와의 관계를 묘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표현 기법

 '묘작도'에서 사용된 주요 표현 기법은 영모화(翎毛畫) 기법으로, 동물의 털과 깃털을 섬세하게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변상벽은 고양이와 참새를 매우 세밀하게 그렸으며, 특히 고양이의 털과 참새의 깃털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세밀한 붓질과 색감 처리를 사용했다. 고목과 나뭇가지의 굳은 질감은 다소 거친 붓 터치로 묘사되어 대비를 이루며, 고양이와 참새의 부드러운 털과 깃털은 정교한 선과 그라데이션을 통해 세밀하게 표현되었다. 이러한 기법은 작품에 강한 시각적 대비와 동적인 감각을 부여한다.


평가

'묘작도'는 변상벽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그가 고양이를 사랑한 화가로서의 명성을 확립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단순히 동물의 외형을 묘사하는 것을 넘어서, 고양이와 참새 사이의 상호작용과 긴장감을 극적으로 포착한 점에서 높은 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변상벽의 탁월한 사생력과 사실적인 묘사는 동물화에서의 뛰어난 기법을 보여주며, 그의 작품이 조선 후기 영모화 전통을 계승한 중요한 예시로 평가된다. 또한, 고양이와 참새의 섬세한 표현은 그의 초상화 기법에서 기른 세밀한 손길이 돋보이며, 작품의 미적 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참고 문헌

두산백과, "고양이와 참새"
한국미술 산책, "묘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묘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묘작도"